1. 기체에 관한 사항 기체 형식(무인멀티콥터 형식), 기체제원(자체중량, 최대이륙중량, 배터리 규격), 기체규격(로터 직경), 비행원리(전후진, 좌우횡진, 기수전환의 원리), 각 부품의 명칭과 기능(비행제어기, 자이로센서, 기압센서, 지자기센서, GPS수신기), 안전성 인증검사, 비행계획 승인, 배터리 취급 시 주의사항
ㅡ조종기 주파수는? 2.4~2.483GHz (카메라는 5.8GHz)
ㅡIMU 개념은? Inertial Measurement Unit의 약자로 관성측정장치를 말한다. 기체의 자세제어를 위해 롤, 피치, 요의 기울기 및 고도를 측정하는 장치로, 자이로센서, 기속도센서, 공기압계 센서가 내장되어 있다.
ㅡFC의 개념은? Flight Controller의 약자로 비행을 제어하는 전자장치이다. 수신기, MC(Main Controller), IMU, GPS, PMU(Power Management Unit), LED Light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ㅡ로터의 개념(길이, 단위, 1피치의 개념, 2880의 개념, 피치각 20도의 위치 등)은? 로터 2880의 개념은 로터의 직경이 28인치이며, 1피치가 8.0인치라는 뜻이다. 로터의 기본 단위는 inch를 사용하며, 1피치란 로터가 1회전하여 전진한 거리를 의미한다. 피치각이란 익근으로부터 75% 지점의 각도를 측정한 값을 말한다.
ㅡ메인 배터리의 정격 전압은? 1cell의 정격 전압은 3.7V이고, 완충 시에는 4.2V이다. 6셀의 정격 전압은 22.2V이고, 완충 시는 25.2V이다.
ㅡ기체의 북쪽 방향을 가리키는 장치는? 지자기 센서. GPS 안테나 내부에 있는 지자기 센서가 전자 나침반 역할을 하여 지구의 자기(지자기)를 통해 동서남북 방향을 알려주는 센서이다.
ㅡFC의 LED 상태 표시등의 색상, 점등 횟수의 개념은 무엇인가? 제조사별로 상이하지만 통상적으로 GPS모드는 보라색 혹은 녹색이며, 자세(Attitude) 모드는 노란색이다. 지피에스 수신 감도가 줄어들거나 불량일 경우에는 빨강색이 점등된다.
ㅡ배터리에 대하여? * LiPo(Lithium Polymer) 배터리의 개념 : 고체(젤)형태인 폴리머 전해질을 사용하는 배터리이다. 그래서 액체 전해질 형태의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안전성 및 효율이 높다. 하지만 가격이 비싸다. 메모리효과 없음, 3.7V, 리튬이온보다 안전성이 뛰어남 * 사용처별 배터리의 종류 ♧ Main, FC : 리튬 폴리머 ♧ 조종기 : 니켈 수소, 리튬철 * LiPo 배터리 1셀당 전압 : 3.7V, 완충 시 4.2V * 방전율(C-rate) 개념 : 방전율은 C로 표기한다. C는 capacity(용량)의 약자이며, 1C는 배터리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속기에 배터리 용량의 1배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는 것이고, 20C는 20배의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또한 충전 시 C를 참고하여 충전 전류를 설정하고 충전 시간을 예상할 수 있다. * 취급 시 주의사항 ♧ 온도와 충격에 주의한다. ♧ 상온에서 사용 및 보관한다. 너무 춥거나 더운 곳은 피한다. ♧ 배터리가 충분히 식은 후 충전한다. ♧ 장기 보관 시 배터리의 50% 전압, 1셀 3.6볼트~3.8볼트로 보관한다. ♧ 폐기 시 완전 방전을 위해 방전기(전구, 모터) 또는 소금물에 하루 정도 담가두어 완전방전 시킨 후 폐기한다.
ㅡ기체의 자체 중량과 최대이륙중량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 자체 중량은 배터리를 포함한 무게를 말함(연료 사용 기체는 연료 무게 제외) ♧ 최대이륙중량은 적재 물체의 중량을 포함한 총무게를 말함(촬영용은 카메라 장비 무게 포함, 방재용은 최대 방재량의 무게 포함)
ㅡ이 기체의 최대이륙중량은 얼마인가? 이 기체는 자체중량 12.5kg에 10리터(kg) 적재량을 포함하여 최대이륙중량이 22.5kg입니다.
ㅡ기체의 크기는 몇 mm? 1650×1650×630mm(가로×세로×높이)입니다. ♧ 로터 : 고정 피치, 18인치, 피치각25도입니다. ♧ 무게 : 자체 중량은 12.5kg, 적재중량은 10kg, 최대이륙중량은 22.5kg입니다.
ㅡrotor의 pitch 각이란 무엇인가? 피치의 의미는 로터를 1회전 시켰을 때 전진한 거리를 의미합니다. 피치 각은 전 길이를 걸쳐 일정하지 않고 익근에서 익단으로 갈수록 그 크기가 점점 작아진다. 통상 피치각을 대표하여 표현할 때는 로터 중심으로부터 75% 되는 지점 위치의 각을 말한다.(28×8일 경우 로터가 한 바퀴 회전 시 8인치를 전진한다는 뜻이다.)
ㅡ 모터의 kV의 의미는 무엇인가? kV 값은 전압 1V당 모터의 분당회전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모터 스펙이 8025-100kV의 의미는 모터 지름이 80mm, 모터 높이가 25mm, 100kV는 1V의 전압으로 분당 100rpm을 작동한다는 것이다.
ㅡGPS 모드와 자세 모드(Atti)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자세 모드에서는 비행 자세를 유지해 주는 반면 GPS 모드에서는 비행 자세에 위치 제어가 포함된 것이다. *GPS 모드 : 자세제어에 GPS를 이용한 위치제어가 포함되어 자동으로 자세 및 위치를 인식하여 경로 비행까지 실시할 수 있는 모드이다. *자세 모드 : 자이로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비행자세를 유지해 수평을 잡아주는 모드이다. *매뉴얼 모드 : 완전한 수동 모드로서 자세 제어가 없는 모든 비행 조종을 조종사가 직접 감각으로 조종하는 모드이다.
ㅡ장착된 센서의 종류와 각각의 기능은 무엇인가? 첫 째, 자이로 센서는 비행체 자세(수평)를 유지하며, 둘 째, 가속도 센서는 비행체 자세 변화 속도를 제어하고, 셋 째, 지자기 센서(지자기 Compass)는 비행체의 방향을 제어하며, 넷 째, 기압센서는 비행체의 고도를 유지하고, 다섯 째, GPS 수신기는 비행체의 위치를 제어한다.
ㅡ비행장치의 위치와 기수 방향을 제어하는 센서는? 위치 제어는 GPS이며, 기수 방향 제어는 지자기 Compass이다.
ㅡ멀티콥터의 로터 개수에 따른 명칭은? 4개는 쿼드콥터, 6개는 헥사콥터, 8개는 옥토콥터, 12개는 도데카
ㅡ신고번호 S7646A의 의미는 무엇인가? S는 초경량비행장치, 7646은 무인회전익비행장치(7001~7999), A는 식별부호로 서울/부산 A, B, C ... 소진 시 계속 이어나감/ 제주는 J부여
ㅡ비행장치의 안전성 인증기관은? 항공안전기술원(2017.11. 이전에는 교통안전공단에서 실시함)
ㅡ안전성 인증검사 종류는? *초도검사 : 비행장치 설계 및 제작 후 최초로 안전성 인증을 받기 위해 행하는 검사 *정기검사 : 초도검사 후 안전성 인증서의 유효기간이 도래하여 새로운 안전성 인증서를 교부받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 *수시검사 ; 비행장치의 비행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엔진 및 부품의 교체 또는 수리 및 개조 후 비행장치 안전기준에 적합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행하는 검사 *재검사 ; 정기검사 또는 수시검사에서 불합격 처분된 항목에 대하여 보완 또는 수정 후 행하는 검사
ㅡ최대이륙중량의 중요성은(안전성 인증검사의 대상, 비 대상 구분)? 초경량비행장치의 운용 체계는 항공이다. 항공체계의 운용은 기온, 습도, 해발고도 등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최대이륙중량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현행 초경량비행장치 멀티콥터는 최대이륙중량을 기준으로 25kg 초과는 안전성인증을 받아야 하고 이하는 면제의 기준이 된다.
ㅡ항공기 운동의 3개 축은? 피칭(pitching)은 항공기의 가로축을 기준으로 한 기수의 상하운동(Y축)이고, 롤링(rolling)은 항공기의 세로축을 기준으로 한 좌우 운동(X축)이다. 그리고 요잉(yawing)은 항공기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한 기수의 좌우 운동(Z축)이다.
ㅡTorque 현상에 대해 설명하세요 회전하는 힘에 의한 반작용을 토크라고 한다.
ㅡ항공기나 비행장치에 작용하는 힘(4가지)은? 양력, 중력(=무게, 중량), 추력, 항력입니다. 양력은 상대풍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항공역학적인 힘입니다. 즉 항공기나 드론을 공중으로 부양시키는 힘을 말합니다. 중력은 지구 중심 쪽으로 작용하는 힘으로 무게나 중량과도 함께 사용합니다. 추력은 공기 중에 항공기나 드론을 전방으로 움직이게 하는 힘입니다. 항력은 추력에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입니다. 항력에는 유도항력, 형상항력(마찰 항력), 유해항력 등이 있습니다.
ㅡ좌 요우 조작 시 비행 원리는? 좌 요우 조작 시 반대 방향인 우회전(시계 방향)모터 1번과 3번 모터가 더 빠르게 회전하여 반작용으로 기체 기수가 좌로 돌아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요우 조작 시 비행 원리의 핵심은 작용-반작용 원리에 의한 멀티콥터 모터의 회전 수 변화이다. 위 그림의 X자 쿼드콥터를 예로 설명하면 시계방향(1번/3번), 반시계방향(2번/4번)에 해당하는 모터를 알 수 있다. 멀티콥터의 정지 비행(호버링)은 1~4번 모터가 같은 회전수를 유지하여 서로의 작용-반작용 상쇄를 시켜주기 때문에 가능하다.
ㅡX형 멀리콥터의 전진비행 시 로터의 회전속도 변화 모습은? 앞 쪽 두 개보다 뒤 쪽 두 개가 로터 회전 속도가 빨리 회전한다.
ㅡ배터리 폐기 법은? 배터리 폐기 시 소금물에 3일 정도 담가 둔다.(물과 소금의 비율은 5:5)
2. 조종자에 관련한 사항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준수 사항
ㅡ조종자 준수 사항은? *비행금지 시간대 : 야간비행(일몰 후부터 일출 전까지, 특별비행은 승인 후 가능) *비행금지 장소 -관제권으로부터 반경 9.3km 이내(이착륙하는 항공기와 충돌 위험 때문에) -비행금지 구역 : 예, 서울 강북지역(P-73), 휴전선 지역(P-518), 원자력 지역(P-61~65) -비행제한 공역 : 예, 서울 R-75 -150m 이상 고도(항공기 비행경로가 설치된 공역) -인구 밀집 지역 또는 사람이 많이 모인 곳의 상공(예, 스포츠 경기장, 각 종 축제장의 인파가 많이 모인 곳 : 기체 추락 시 인명피해가 높음) -아파트 단지,도로 상공, 군부대 인근, 철도/화학/가스/화약저장소 등 *금지 행위 : 비행 중 낙하물 투하금지, 조종자 음주 행위 금지(0.02% 기준), 조종자가 육안으로 비행장치를 직접 볼 수 없는 경우는 비행금지 등
ㅡ비행 전 꼭 확인하여야 할 사항은? 기상 상태, 음주 여부, 비행지역 내 장애물 여부, 사람 유무, 비행 가능한 시간대 유무 등을 확인합니다.
ㅡ조종자 준수사항 위반 시 과태료는? 1차 위반 시 20만원, 2차 위반 시 100만원, 3차 위반 시 200만원
3. 공역 및 비행장에 관련한 사항 비행금지구역, 비행제한공역, 관제공역, 허용고도, 기상 조건(강수, 번개, 안개, 강풍, 주간)
ㅡ비행제한 공역의 뜻과 비행승인권자는 누구인가? *비행제한 공역은 항공사격, 대공사격 등의 위험으로부터 항공기의 안전을 보호하거나 그 밖의 이유로 비행허가를 받지 아니한 항공기의 비행을 제한하는 공역을 말하며, 비행 승인권자는 국토교통부 장관이다. 예, R-75 : 서울지역 비행제한구역(서울 외곽 비행제한 구역), 기타 사격장, 공수낙하훈련장 등의 비행제한 구역
ㅡ비행금지구역에서 비행허가를 받는 곳은? *P-73A/B 서울지역 : 수도방위 사령부(화력과) *P-518 휴전선 지역 : 합동참모본부(항공작전과) *P-61~65 원자력 지역 : A구역은 합동참모본부(공중종심작전과), B구역은 지방항공청
ㅡ원전 5개 지역의 이름과 기호를 말하고, 통제 범위와 비행 허가 부서를 말하시오 *고리는 P-61, 월성은 P-62, 영광은 P-63, 울진은 P-64, 대전은 P-65입니다. *반경에 따라 통제 범위를 A, B 구역으로 나누고 있는데, A구역은 중심반경 3.7km, B구역은 중심반경 19km까지이다. *비행 허가 부서는 A구역은 합동참모본부 공중종심작전과이며, B구역은 지방항공청입니다.
ㅡP73 비행금지구역이란? 서울지역 비행금지구역으로 청와대를 기준으로 A 구역은 2NM(nautical mile=해리=1.852km)이고, B 구역은 4.5NM의 구역을 말한다. 모든 항공기를 포함하여 침범 시 격추를 당하며, 육군의 수도방위사령부에서 통제한다.
ㅡR75 비행제한 구역이란? 서울지역 비행제한구역으로 비행허가를 받지 않는 항공기의 비행을 제한하는 공역을 말한다. 서울 외곽으로 설정되어 있다. 수도방위사령부 방공작전통제소에서 통제
ㅡ지방항공청별 관할 지역은? *서울지방항공청은 서울, 경기, 인천, 강원, 대전, 충남, 충북, 세종, 전북 등이다. *부산지방항공청은 부산, 대구, 울산, 광주, 경남, 경북, 전남 *제주지방항공청 : 제주
ㅡ초경량비행장치 운용 시 가능한 시정거리는 얼마인가? 가시권 비행이다. 즉 비행장치를 눈으로 확인 가능한 거리 내에서 운용해야 한다.
ㅡ방제용 비행장치의 기상 제한치는 무엇인가? 바람, 비, 눈, 천둥, 번개, 우박 등 기상이 좋지 않을 시는 운용하지 않아야 하며, 방제용 비행장치의 풍속 제한치는 기종별 매뉴얼을 참고한다.
4. 일반 지식 및 비상 절차 비행 계획, 비상 절차, 충돌 예방(우선권), NOTAM(항공고시보)
ㅡNOTAM이란? notice to airmen의 약자이다. '항공고시보'라고 한다. 비행장(헬기장 포함) 또는 활주로의 설치, 폐쇄 또는 운용상 중요한 변경, 비행금지구역, 비행제한구역, 위험구역의 설정, 폐지(발표 또는 해제 포함) 또는 상태의 변경 등의 정보를 수록하여 항공조종사들에게 배포하는 공고문이다. 항공고시보는 통상 28일을 주기로 발생하며, 최대 유효기간은 3개월이다.
ㅡ초경량비행장치를 비행 중 유인헬리콥터가 착륙하려 할 때 준수사항은? 초경량비행장치는 비행기나 헬리콥터 근처에서 비행하지 말하야 하며, 비행기나 헬리콥터가 인접 지역으로 접근 시 신속히 그 지역을 회피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비행기나 헬리콥터는 비행 난기류나 항강풍을 발생시켜 비행장치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ㅡ초경량항공기의 양보 순위는? 초경량비행장치는 다른 모든 항공기나 헬리콥터, 동급 초경량비행장치에 대하여 진로, 비행 등 모든 것을 양보하여야 한다.
ㅡ인명사고 대처방법은? 인근 119구조대에 연락하여 인명구조를 위해 노력한다. 지방항공청과 항공철도 사고조사위원회에 사고보고를 한다.
ㅡ초경량비행장치의 비행 시 비행관련 휴대품은? 조종 증명(자격증), 비행승인서(승인이 필요한 기체,지역 등), 안전성인증서(해당 기체), 비행기록부, 운전면허증 또는 신체검사 합격증 등
ㅡ취득하고자 하는 자겨긍의 정확한 명칭은? 초경량비행장치(무인 멀티콥터)
ㅡ일반적으로 비행이 가능한 고도는? 그리고 왜 그렇게 설정되었는가? 초경량비행장치(무인 멀티콥터)는 고도 150m 미만이다. 왜냐하면 150m 이상은 항공기난 헬리콥터 등의 운용 공간이므로 충돌의 위험이 있기 대문이다.
ㅡ착륙 접근조작 시 사람이 접근하면 어떤 조치를 해야하는가? 1차적으로 경고하여 접근하지 않도록 한다. 계속 접근 시 지나간 후 착륙하거나 반대쪽으로 착륙시키는 등 안전 구역으로 회피한다.
5. 이륙 중 엔진 고장 및 이륙 포기 이륙 중 비정상 상황 시 대응방법
ㅡ 이륙 중 기체 고장 시 대응방법은? 이륙 중 엔진 고자이나 비정상 상황 시 이륙을 포기하고 신속히 착륙하여 기체를 점검한다.
끝.
|